-
-
- 김홍범 기자 | 데스크 @admin | 구독 1,258명 | netcityweb@daum.net | 10레벨 | 31,800P
- 도시, 외간특수전문으로 지역소식은 물론,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로 재미있게 구성하며 최신 과학 및 SF, 우주, 문명, 시간, 역사, 스토리, 미스테리, 탐사보도, 유튜브, 판타지 등의 소식을 전달하는 매거진(웹진) 타잎의 전문 사이트 입니다. 개인 매체로서 상업성이 없으며, 넷시티의 글들은 경험과 실화,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작성 되었으며, 이곳에 사용되는 이미지와 동영상들은 유사 상황을 참조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소개 : 경기도뿐만이 아니라 수원과 오산, 화성시, 용인시, 의왕시 등등 지역 중심으로 소식을 전달합니다. 글에 있어 초고를 그대로 올리는 이유는 신에 있어 그 이상의 행위는 인류에 있어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범
- 메모 : 웹디자인, 웹기획, 디자이너, 프리 저널리스트(도시, 외간특수전문) 등
- 주소 : 경기 수원시 장안구 만석로210번길 부근 (송죽동)
- 홈페이지 : http://news.netcity.co.kr
- 이전글경과원, ‘월드클래스 최고전략 아카데미’ 수료식 개최 AI·DX 글로벌 리더 37명 배출2024.12.07
- 다음글경기도일자리재단, 투명한 채용문화 확산으로 ‘공정채용 우수기업 어워즈’ 수상2024.11.01
뉴스
-
오피니언 (지네절터에서...)
2024.12.05 10:40 경기도 유튜버의 놀이터, ‘1인 크리에이터 기회놀이터’ 부천에 개소
“창작자를 위한 스튜디오, 교육장소, 장비 대여와 지원 사업 운영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오프라인 거점이 될 것”
김홍범 기자 netcityweb@daum.net | 경기소식 | 인쇄
경기콘텐츠진흥원(원장 탁용석, 이하 경콘진)은 도내 유튜버 등 1인 창작자를 위한 창작 공간 ‘1인 크리에이터 기회놀이터’ 개소식을 경콘진 부천 본원 15층에서 3일 열었다.
경콘진은 1인 미디어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도내 창작자의 안정적인 활동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 구축 사업을 올해 진행했다. 2018년부터 경콘진 부천 본원 15층에 운영하던 스튜디오 공간을 창작자 수요를 반영해 재구축했다.
‘1인 크리에이터 기회놀이터’는 244㎡ 규모의 1인 크리에이터 활동 공간으로 스튜디오, 교육장, 장비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스튜디오’는 영상을 깊이감 있게 촬영할 수 있는 호리존 스튜디오(Horizon Studio)다. 이곳에서는 RGB조명과 카메라 레일, 지미집 등 전문 장비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촬영을 지원한다. ‘스트리밍 스튜디오’는 창작자가 온라인 생방송을 할 수 있도록 방송용 컴퓨터 및 카메라와 오디오 믹서, 스트림덱, 스위처 등을 갖추고 있다. ‘오픈 스튜디오’는 많은 인원이 참석하는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이다. 방음 시설에서 녹음, 편집 작업 등을 할 수 있는 1인용 ‘프라이빗 부스’는 2개 실 있다.
‘교육장’에서는 고사양 데스크톱과 빔프로젝터 등을 활용해 20여 명이 영상 편집 및 실습 교육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상 창작 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보관·대여할 수 있는 ‘장비실’과 냉장고, 세면대 등 편의시설이 있다.
‘1인 크리에이터 기회놀이터’는 경기도 부천시 부천로198번길 18 춘의테크노파크2차 202동 15층에 있다. 공간을 이용하고 싶은 개인이나 단체는 경콘진 누리집(www.gcon.or.kr) ‘예약 신청’ 탭에서 예약하면 된다. 대관 문의는 경콘진 인재양성팀(032-623-8084)으로 하면 된다.
경콘진 탁용석 원장은 “1인 크리에이터 활동은 단순히 취미를 넘어 직업이 되었고, 이제는 콘텐츠 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라며, “창작자에게 필요한 공간, 장비, 교육 및 다양한 지원 사업이 한곳에 있는 ‘원스톱 오프라인 거점’의 필요성을 절감해 공간을 구축했다”라고 밝혔다.
한편, 2023년에 경콘진이 1인 영상 창작자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 1인 크리에이터 산업 동향 및 정책 연구’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3.4%가 크리에이터 전용 공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경콘진은 2017년부터 경기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교육, 콘텐츠 제작, 컨설팅, 창작자 네트워킹 등을 제공하는 ‘1인 크리에이터 지원 사업’을 운영해왔다.
비회원은 더이상 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댓글목록
추가된 + 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