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2024.06.08 10:41 광교산 산행기, '국사(國師)의 길'을 걸으며

    김홍범 기자 netcityweb@daum.net | 탐방 | 인쇄



    지난 10월 6일 광교산 ‘국사의 길’을 걸었다. 국사의 길은 수원 창성사(진각국사)와 용인 서봉사(현오국사)를 잇는 길로 10km 정도의 구간이다. 주요 루트는 상광교종점-고은시인사택-토기재-서봉사지-현오국사비-비로봉-진각국사비 옛터-상광교종점 구간으로 4시간 남짓 걸린다. 
     
    한 여름의 푸르른 빛을 내던 숲도 가을바람을 맞아 서서히 익어가고 있다. 가을단풍을 보기엔 이른 시기이지만 다음 주 정도면 아름다운 광교산의 단풍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가칭 국사의 길은 올해 초 자주 걸었다지만 걷는 건 실로 오랜만이다.
     
    상광교 종점 일대 옛 절터가 있었던 곳에는 이곳저곳 옛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그 넓은 면적에서 기와와 도자기 파편 등이 발견되는 것이다. 이곳에 옛 사찰이 있었다면 그 규모만 해도 엄청난 크기다. 대략 순천의 송광사 규모와 맞먹을 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컸을 것으로 본다. 
     
    송광사와의 유사점은 지도로 비교해도 들어맞는 부분이 많다. 계곡에 위치한 점과 주변에 국사암과 부도암이 별도로 존재할 가능성, 물이 풍부한 점, 그리고 그 지역 구석구석에서 옛 흔적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지금의 광교산 법성사 일대에 대 사찰이 존재했다는 걸 증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사찰은 무엇이었을까. 역사의 기록으론 89개의 암자를 거느린 창성사가 지금으로선 유일하다. 
     
    고은시인 사택 앞에는 물길을 건너는 다리도 송광사와 그 위치가 들어맞는다. 아마도 물길 건너엔 스님들의 숙소나 외부 손님과 숙식과 같은 곳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불교에서 물을 건너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기에 속세를 떠나 절에 들어가기 위해 수련했던 사람들은 이곳에서 숙식을 하며 다리를 오고갔을 것으로 보인다. 
     
    사방댐을 지나 토끼재를 향했다. 이 길은 토끼재를 넘어 서봉사로 가는 길 중 가장 빠른 길이다. 대략 서봉사까지 가는 시간은 1시간 반이면 충분하다. 산을 경계로 서봉사와 창성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고려시대만 해도 두 사찰의 왕래가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등산구간인 이 구간은 사람들의 많이 찾는 길이다. 광교산은 한 해 600만명이 찾는 곳으로 이 구간은 가족 또는 연인들이 자주 찾는다. 
     
    토끼재에 서봉사로 내려가는 길은 자연을 만끽하며 걸을 수 있다. 이 구간은 인적이 드물어 자연의 풍경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토끼재에서 서봉사 현오국사비까지는 30분이 걸린다. 
    서봉사지를 들르니 예전과는 다른 모습이다. 얼마전 대대적인 1차 학술발굴조사를 한 것이다. 
     
    현오국사비 앞에서 바라본 형제봉의 풍경이 그 어느 때보다 아름다워 보였다. 서봉사지에 비해 창성사지는 자욱한 안개에 가린 모습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은 언젠가는 그 안개가 걷히고 창성사의 옛 모습을 하나 둘 찾을 것으로 본다. 역사의 흔적은 그렇게 쉽게 지워지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길을 걸으며 사색과 영감을 얻길 바라며 일행은 천천히 옛 진각국사비가 서 있던 곳으로 향했다.

      AD

    비회원은 더이상 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AD

    댓글목록

    추가된 + 글이 없습니다.

    • profile_image
      김홍범 기자 | 데스크 @admin | 구독 1,258명 | netcityweb@daum.net | 10레벨 | 31,800P
    • 도시, 외간특수전문으로 지역소식은 물론,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로 재미있게 구성하며 최신 과학 및 SF, 우주, 문명, 시간, 역사, 스토리, 미스테리, 탐사보도, 유튜브, 판타지 등의 소식을 전달하는 매거진(웹진) 타잎의 전문 사이트 입니다. 개인 매체로서 상업성이 없으며, 넷시티의 글들은 경험과 실화,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작성 되었으며, 이곳에 사용되는 이미지와 동영상들은 유사 상황을 참조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소개 : 경기도뿐만이 아니라 수원과 오산, 화성시, 용인시, 의왕시 등등 지역 중심으로 소식을 전달합니다. 글에 있어 초고를 그대로 올리는 이유는 신에 있어 그 이상의 행위는 인류에 있어 전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범
    • 메모 : 웹디자인, 웹기획, 디자이너, 프리 저널리스트(도시, 외간특수전문) 등
    • 주소 : 경기 수원시 장안구 만석로210번길 부근 (송죽동)
    • 홈페이지 : http://news.netcity.co.kr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